-
경력자 이력서 작성법 (책 리뷰: 당신은 더 좋은 회사를 다닐 자격이 있다_02)채용 및 취업 2024. 7. 30. 14:57
좋은 회사를 찾고, 선택하는 방법에 이어 이번 포스팅은 이력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.
4장. 경력자에게 꼭 필요한 이력서&면접 스킬
4-1. 이력서를 쓰기 전 명심할 3가지
1. 나열말고, 선별하자!
내가 한 일들을 나열하지 말고,
- 그 회사가 필요로 하는 역량 및 책무 분석하기
- 그 회사의 우선순위에 적합한 나의 역량과 책무를 작성 및 먼저 보이도록 강조하기
- ex1) 글로벌 투자은행으로 이직 시
- 이력서 기술 → 예전 직장에서의 마케팅과 세일즈 성과 : 일반, 기관 대상 세미나와 온/오프라인 미디어 인터뷰는 얼마나 많이 했는지 숫자로 표기, 금융상품 책을 쓰고 관련 방송을 한 경험의 비용 대비 효과와 시장점유율 등을 기술. 금융감독원이나 거래소 등과 함께 일해 본 경험을 특히 강조하여 기술.
- 이직하려는 회사가 원하는 역량 → 새로 론칭하는 비즈니스를 어떻게 일반, 기관 투자자에게 효과적으로 잘 알릴 것인지, 금융감독 기관과 얼마나 긴밀하게 일할 것인지를 핵심적으로 고려하고 있었기 때문
- ex2) 일반 기업으로 이직 시
- 자신이 함께 일해본 회사는 어디인지
- 그들과 무슨 일을 어떻게 했는지
- 무슨 역할을 맡았는지
- ex3) 대학(원)으로 이직 시
- 어느 학교에서 어떤 내용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, 얼마나 많은(숫자 표기) 학생들을 1:1로 만나보았는지가 먼저 보이도록 강조하여 작성
2. Fact 말고 Value가 중요하다
- Fact만 나열 : ‘제목’만 나열하거나, ‘무엇을 했다는 Fact만 나열 ( X )
- Fact + Value 주기 : ‘이 일을 어떤 목적으로, 어떻게 했고, 결과는 어땠으며, 그런 일을 해보았으니 우리 회사에서는 어떻게 할 수 있다.’ 를 함께 작성하기 ( O )
- ex1) 온라인 마케팅
- 누구를 타깃으로 했는가(연령, 성별, 라이프스타일 등 자세히 명시. → 그 타깃의 특성을 ‘알고 있다.’는 뜻이 되므로)
- 어떤 마케팅 채널(페이스북, 인스타, 유튜브 등)을 운영했는가
- 어떤 종류의 콘텐츠를 활용했는가
- 어떤 주기로 마케팅을 했는가 (일별, 주별, 월별)
- 결과는 어땠는가 (서비스 이용자 수 변화, 프로젝트 기여도, 팀 기여도)
- ex2) 기획자
- 누구를 대상으로, 어떤 종류의 사업을 기획했는지
- 어느 정도의 예산으로, 어떤 결과를 목표로 했는지
- 독립적으로 프로젝트 매니징(PM)을 해 보았는지
- 어떤 사람들과 협업했는지
- 결과는 어땠는지
- ex1) 온라인 마케팅
3. 이력서 1개로 돌려막기 금지
- 회사에서는 이 회사에 오고싶어서 썼는지, 여기저기 뿌리는지 이력서를 보면 안다!
'채용 및 취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직, 취업 시 좋은 회사 선택하는 법 (책 리뷰: 당신은 더 좋은 회사를 다닐 자격이 있다_01) (8) 2024.07.30 [원티드 AI 챌린지] AI 필수 개념 (2)현직자 이야기 : 취준 시 고려사항 (3) 2024.06.05 [원티드 AI 챌린지] AI 필수 개념(1) (6) 2024.06.05 AIFFEL 커리어 세미나, 전반기 회고 (1) 2024.02.19 머신러닝 엔지니어가 되려면? (0) 2024.01.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