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파이썬 : (3) 연산자, 데이터 타입 및 타입 변환학습기록 : 프로그래밍 2024. 7. 5. 16:33
오늘은 아래 내용을 다룬다.
- 파이썬의 여러가지 데이터 타입의 종류 익히기 : str, int, float
- 타입 변환해보기
이전의 게시물과 동일하게 제목이 '파이썬 : ' 으로 시작한다면 세브란스 교수님의 PY4E 강의이다!
연산자
- 수학 연산자 활용 : 덧셈 + , 뺄셈 - , 곱셈 * , 거듭제곱 ** , 나눗셈 / , 나눗셈의 나머지 %
- 연산자 실행 순서는 괄호, 거듭 제곱, 곱셈/나눗셈, 덧셈/뺼셈,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된다.
타입
- str(string)은 말 그대로 문자, int(integer)는 -1, 0, 5와 같은 정수, float는 0.7, -5.1, 0.0 과 같은 부동소수점
- 같은 타입끼리 연산이 가능하며, 정수와 부동소수점의 연산이 경우 정수를 부동소수점으로 만들어서 연산한다.
- 파이썬3부터는 정수끼리의 나눗셈 결과는 부동소수점으로 나온다.
- 문자열과 정수, 문자열과 부동소수점은 연산이 불가하다.
- 타입 확인 : 예를 들어 변수 x의 타입을 확인하고 싶다면 type(x)를 실행하면 된다.
타입 변환
아래와 같이 변환시키고 싶은 타입 형식으로 감싸주면 타입이 바뀐다.
a = '123' # 123은 따옴표로 감싸져 있으므로 정수 b = a + 1 print(b) # 오류. str과 int는 연산이 불가능하므로. # 아래와 같이 타입을 변환해준다. : str을 int로 변환 c = int(a) # str을 int로 변환 b = c + 1 print(b) # 124로 정상 출력됨
사용자 입력 (User Input)
- input은 파이썬에 내재된 함수 (내장 함수)
- input() : 괄호 안에 사용자에게 보여줄 문장을 넣고 실행하면, 문장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입력할 때까지 기다린다.
name = input('Who are you?') print('Welcome', name) # 아래와 같이 출력된다. Who are you? Rosy Welcome Rosy
프로그래밍 해보기 : 미국에서는 몇 층일까?
엘리베이터에서 미국의 1층은 1로 표시되지만, 유럽의 1층은 0으로 표시된다.
사용자가 현재 유럽에서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떄 미국에서의 층수로 알려주는 코드를 만들어보자.# 알고싶은 층 사용자 입력받기 floor = input('Europe floor?') # 유럽의 층수를 미국 기준으로 바꾸기 us = int(floor) + 1 # 사용자에게 결과 출력해주기 print('US floor : ', us)
'학습기록 :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: (4) 조건문과 예외처리 (5) 2024.07.07 파이썬 : (2) 변수, 표현식, 문장 (2) 2024.07.05 파이썬 : (1) 예약어, 순차문, 조건문, 반복문 (1) 2024.07.03 파이썬 프로그래밍 쉽게 하는 법 (2) 2024.07.03 컴퓨터의 내부구조 : CPU, 메인 메모리, 소프트웨어, 하드 드라이브, 마더보드 등 (2) 2024.07.03